(남부 대공연장 1층(453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46석, 나 57석, 다 57석,라 46석, 마 41석, 바 52석, 장애인석 4석, 사 53석, 아 60석, 자 41석 의자 배치도) /
(비상구 : 가 38석 뒤 문1, 라 486석 뒤 문4, 바 52석/사 42석 사이 뒤쪽 문2, 사 53석 / 아 49석 사이 뒤쪽 문3) /
(소화기(총 3개) : 마 34석 뒤 1개, 사 47석/사 48석 뒤쪽 1개, 자 41석 뒤 1개) 닫기
(남부 대공연장 2층(153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하 20석, 파 35석, 타 42석, 카 36석, 차 20석) / 
(비상구 : 하 1석 왼쪽 방향 문 5, 차 8석 오른쪽 방향 문 6) / 
(소화기(총 3개) : 하 9석 뒤 1개, 타 38석/타 39석 사이 뒤쪽 1개, 차 17석 뒤 1개) 닫기
(남부 소공연장(256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117석, 나 139석) / 
(비상구 : 가 1석 왼쪽 방향 문, 가 41석 왼쪽 방향 문, 가 81석/가 91석 사이 왼쪽 방향 문)
(소화기 (총 6개): 가 1석 왼쪽 앞 1개, 나 11석 오른쪽 앞 1개, 가 61석/가 71석 사이 왼쪽 방향 1개, 나 77석/나 88석 오른쪽 방향 1개, 가 109석 뒤 1개, 나 139석 뒤 1개) 닫기
(북부 대공연장 (631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76석, 장애인석 7석, 나 91석, 다 106석, 라 106석, 마 85석, 바 85석)
(비상구 : 스테이지 왼쪽 앞/가 15석 왼쪽 앞 문, 스테이지 오른쪽 앞/나 1석 오른쪽 앞문 문,마 89석 뒤 문, 마 85석 뒤 문, 바 98석 뒤 문, 바 94석 뒤 문)
(소화기(총 4개) : 가 15석 왼쪽 1개, 나 1석 오른쪽 1개, 마 98석 왼쪽 뒤 1개, 바 85석 오른쪽 뒤 1개)  닫기
(북부 소공연장(282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132석, 장애인석 4석, 나 150석)
(비상구 : 가 132석 뒤 문, 나 133석 뒤 문)
(소화기(총 2개) : 스테이지 왼쪽 앞/가 11석 왼쪽 앞 1개, 스테이지 오른쪽 앞/ 나 11석 오른쪽 앞 1개) 닫기
(서부 대공연장 1층(282석) 좌석배치도 : 전체 768석, 좌석배치도, 왼쪽부터 104석, 장애인석 4석, 나 144석, 다 144석, 라 104석, 장애인석 4석)
(비상구 : 가 21석/가28석 왼쪽 문, 라 27석/라 34석 오른쪽 문, 가 98석 왼쪽 뒤 문, 라 104석 오른쪽 뒤 문)
(소화기(총 6개) : 스테이지 왼쪽 앞 1개, 스테이지 오른쪽 앞 1개, 가 21석/가28석 왼쪽 문 밖 1개, 라 27석/라 34석 오른쪽 문 밖 1개, 공연장 밖 뒤 왼쪽/오른쪽 각 1개씩 배치) 닫기
(서부 대공연장 2층 (272석) 좌석배치도 : 전체 768석, 좌석배치도, 왼쪽부터 마 62석, 바 65석, 사 83석, 아 62석)
(비상구 : 마 56석 왼쪽 뒤 문, 아 62석 오른쪽 뒤 문)
(소화기(총 2개) : 공연장 밖 뒤 왼쪽/오른쪽 각 1개씩 배치) 닫기
(서부 소공연장(168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라 34석, 다 50석, 나 50석, 가 34석)
(비상구 : 라 3석 왼쪽 문1, 라 34석 왼쪽 뒤 문 2, 다 43석/나 50석 사이 뒤 정문, 가 1석 오른쪽 문4, 가 29석 오른쪽 뒤 문3)
(소화기(총 5개) : 스테이지 왼쪽 1개, 스테이지 오른쪽 1개, 가 7석 오른쪽 1개, 공연장 밖 뒤 왼쪽/오른쪽 각 1개씩 배치)  닫기

바로가기 메뉴

메뉴 열기

공연·전시·행사

공연·전시·행사

  • 공연·전시·행사
  • 행사일정

행사일정

2024 문화기획학교 심화과정 
<휙휙, 한 발 더 나가는 기획!> 참여자 모집
문화기획학교 심화과정<휙휙, 한 발 더 나가는 기획!>은 기획자로서 지역을 탐색하는 예비·초기 기획자들이 지역과 사람, 예술과 일상, 일과 활동 등 다양한 경계를 유연하게 넘나들며 좋은 기획을 설계할 수 있는 경험과 훈련의 과정입니다. 지역에서 기획자로 한 발 더 나가기 원하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  신청기간: 7. 25.(목) ~ 8. 5.(월) 17:00
󰏅  신청방법: 인터넷 접수 (https://lrl.kr/Odr0)
󰏅  참여자 선정발표 : 8. 8(목) 개별연락
   ※ 2024년 문화기획학교 입문과정 우선 선발
󰏅  교육대상: 
- 평택시문화재단 문화기획학교 입문과정 수료자 또는 
  문화 기획(자) 관련 교육 수료자 
- 평택시 거주 문화예술 기획분야에서 활동 경험이 있는 시민
󰏅  교육인원: 15명 내외
󰏅  수 강 료: 무료
󰏅  교육기간: 8. 14.(수) ~ 11. 02.(토) 
    매주 수요일 교육 5회차[14:00~18:00/10:00~18:00 * 교육 회차별 시간 상이]
󰏅  교육장소: 안정리예술인광장, 남부문예회관 세미나실 
󰏅  교육내용

회차
일자
시간
내용
강사
1
8/14
(수)
14:00~18:00
[오리엔테이션] 교육 과정 안내 / 참여자 및 강사소개
[워크숍] 기획자들의 월드카페 
각자 관심있는 주제와 이슈 등을 중심으로 마인드맵을 작성하고 공통 키워드에 대한 각자의 관점과 생각, 경험을 공유 
박도빈
서상혁
2
8/21
(수)
10:00~18:00
[특강] 지역문화기획자의 리서치
 -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와 기획자의 역할 
 - 지역을 기반으로 한 문화기획에 리서치가 필요한 
    이유 및 다양한 사례 공유
 - 기획자에게 필요한 리서치의 관점과 기본적인 방법론    등(자료 수집과 분석, 설문, 인터뷰, 현장 탐방 등)
최혜자 대표
(문화디자인자리)
[워크숍/멘토링] 프로젝트 그룹 구성 및 멘토링
박도빈
서상혁
김정이
이윤신
-
08/22-09/24
[그룹 활동] 프로젝트 기획을 위한 리서치 
학습 모임, 인터뷰, 설문, 탐방 등 / 그룹별 멘토링
-
3
9/25
(수)
10:00~18:00
[워크숍] 그룹별 리서치 활동과정 및 결과 공유
 - 리서치 과정에 대한 질의응답 및 멘토 피드백 
 - 리서치 결과를 바탕으로 기획의 목적 및 방향 설정 
박도빈
서상혁
김정이
이윤신
4
10/09
(수)
14:00~18:00
[그룹 활동] 그룹별 프로젝트 기획 및 멘토링 
기획의도, 실행방안, 기대효과, 홍보 및 모집, 기록, 예산 등 
박도빈
서상혁
김정이
이윤신
-
10/10 ~ 11/1
[그룹 활동] 프로젝트 실행  
그룹별 멘토링 / 프로젝트 현장 모니터링 
-
5
11/02(토)
14:00~18:00
결과공유회
개별 프로젝트 결과, 참여 소감 등 나눔
박도빈
서상혁
김정이
이윤신

※ 교육 내용은 진행 상황에 따라 강사 및 수강생의 협의로 변경될 수 있음
2024 문화기획학교 심화과정 <휙휙, 한 발 더 나가는 기획!> 참여자 모집
세부내용
대상 문화기획학교 입문과정 수료자 등
인원 15명 내외
장소 안정리예술인광장 등
행사기간 8. 14.(수) ~ 11. 02.(토)
모집기간 7. 25.(목) ~ 8. 5.(월) 17:00
접수방법 인터넷 접수
참가비 무료
주최,주관 평택시문화재단
문의 031-8053-3541
상세정보
󰏅  교육멘토 소개  박도빈 / 독립 기획자, (전)동네형들 공동대표  20대에 2년간 미국과 프랑스, 인도에서 자원활동가로 살았다. 이후 국제교류, 환경, 청소년, 도서관 등 여러 분야의 비영리단체에서 활동하다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 강북구에서 ‘문화예술커뮤니티 동네형들’의 공동대표로 일했다. 최근에는 인력양성사업에 관심이 많아 ‘도봉문화기획학교’ ‘천안 문화매개자 인력양성사업’ ‘평택문화기획학교’ ‘영도 기획자의집’ 등 여러 지역에서 예비문화기획자들을 만나고 있다.  서상혁 / 독립 기획자, 축제행성 대표  2005년 축제 분야에서 ‘기획’을 처음 경험했다. 이후 예술, 공간, 교육, 영상 등 분야와 장르 경계 없이 기획 활동을 확장했다. 2017년 ‘이머시브 시어터’에 관심을 두고 창작 활동에서 ‘연출’을 시작했다. 특히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복합문화예술공간 행화탕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동하며 그간 발산된 경험을 사유로 수렴하는 시간에 머물렀다. 2018년부터 최근까지 '도봉문화기획학교', '평택문화기획학교', '서초뮤직앤아트페스티벌 축제기획단' 등 여러 인력양성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김정이 / 비커밍콜렉티브 대표  현재 비커밍콜렉티브 대표로 다양한 문화기획 및 정책연구 활동을 하고 있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문화매개학과에서 객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중앙대에서 예술경영 석사학위를 받았고 한양대에서 교육공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문화예술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프로그램 기획자로 일을 시작했고 대표 기획으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인파견지원사업, 제주/원주/충주/도봉 문화기획학교, 이오(2x5)프로젝트, 동시대전통연희창작증강랩, 제주장애예술폴리시랩, 지역문화진흥원의 토끼캠프를 꼽을 수 있다. 동시대 예술가들의 작업을 이해하고 기획으로 연결하는 기획자양성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다. 좋은 기획자들이 지역의 활기와 미래를 만들어간다는 신념으로 일하고 있다.    솔가(이윤신) / 음악창작자, 문화예술교육자, 기획자  뮤지션이면서 전 화성시청년지원센터 센터장이었던 솔가는 극단 노뜰의 연극배우로 예술분야에서 활동을 시작해서 사회적기업 노리단에서 공연팀장을 역임하며 문화예술교육자, 문화기획자 등으로 다양한 영역을 확장해 왔다. 국제활동단체인 ‘이매진피스’와 함께 길 위의 사람들을 만나며, 경계를 넘고 가로지르는 다양한 국제 활동도 해 왔다. 현재 커뮤니티 기반의 음악, 지속가능한 예술, 생태적 관점의 축제와 경계를 넘는 문화기획 등 다양한 주제로 활동하고 있다
오늘 공연일
공연달력
2024. 7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