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 대공연장 1층(453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46석, 나 57석, 다 57석,라 46석, 마 41석, 바 52석, 장애인석 4석, 사 53석, 아 60석, 자 41석 의자 배치도) /
(비상구 : 가 38석 뒤 문1, 라 486석 뒤 문4, 바 52석/사 42석 사이 뒤쪽 문2, 사 53석 / 아 49석 사이 뒤쪽 문3) /
(소화기(총 3개) : 마 34석 뒤 1개, 사 47석/사 48석 뒤쪽 1개, 자 41석 뒤 1개) 닫기
(남부 대공연장 2층(153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하 20석, 파 35석, 타 42석, 카 36석, 차 20석) / 
(비상구 : 하 1석 왼쪽 방향 문 5, 차 8석 오른쪽 방향 문 6) / 
(소화기(총 3개) : 하 9석 뒤 1개, 타 38석/타 39석 사이 뒤쪽 1개, 차 17석 뒤 1개) 닫기
(남부 소공연장(256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117석, 나 139석) / 
(비상구 : 가 1석 왼쪽 방향 문, 가 41석 왼쪽 방향 문, 가 81석/가 91석 사이 왼쪽 방향 문)
(소화기 (총 6개): 가 1석 왼쪽 앞 1개, 나 11석 오른쪽 앞 1개, 가 61석/가 71석 사이 왼쪽 방향 1개, 나 77석/나 88석 오른쪽 방향 1개, 가 109석 뒤 1개, 나 139석 뒤 1개) 닫기
(북부 대공연장 (631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76석, 장애인석 7석, 나 91석, 다 106석, 라 106석, 마 85석, 바 85석)
(비상구 : 스테이지 왼쪽 앞/가 15석 왼쪽 앞 문, 스테이지 오른쪽 앞/나 1석 오른쪽 앞문 문,마 89석 뒤 문, 마 85석 뒤 문, 바 98석 뒤 문, 바 94석 뒤 문)
(소화기(총 4개) : 가 15석 왼쪽 1개, 나 1석 오른쪽 1개, 마 98석 왼쪽 뒤 1개, 바 85석 오른쪽 뒤 1개)  닫기
(북부 소공연장(282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가 132석, 장애인석 4석, 나 150석)
(비상구 : 가 132석 뒤 문, 나 133석 뒤 문)
(소화기(총 2개) : 스테이지 왼쪽 앞/가 11석 왼쪽 앞 1개, 스테이지 오른쪽 앞/ 나 11석 오른쪽 앞 1개) 닫기
(서부 대공연장 1층(282석) 좌석배치도 : 전체 768석, 좌석배치도, 왼쪽부터 104석, 장애인석 4석, 나 144석, 다 144석, 라 104석, 장애인석 4석)
(비상구 : 가 21석/가28석 왼쪽 문, 라 27석/라 34석 오른쪽 문, 가 98석 왼쪽 뒤 문, 라 104석 오른쪽 뒤 문)
(소화기(총 6개) : 스테이지 왼쪽 앞 1개, 스테이지 오른쪽 앞 1개, 가 21석/가28석 왼쪽 문 밖 1개, 라 27석/라 34석 오른쪽 문 밖 1개, 공연장 밖 뒤 왼쪽/오른쪽 각 1개씩 배치) 닫기
(서부 대공연장 2층 (272석) 좌석배치도 : 전체 768석, 좌석배치도, 왼쪽부터 마 62석, 바 65석, 사 83석, 아 62석)
(비상구 : 마 56석 왼쪽 뒤 문, 아 62석 오른쪽 뒤 문)
(소화기(총 2개) : 공연장 밖 뒤 왼쪽/오른쪽 각 1개씩 배치) 닫기
(서부 소공연장(168석) 좌석배치도 : 왼쪽부터 라 34석, 다 50석, 나 50석, 가 34석)
(비상구 : 라 3석 왼쪽 문1, 라 34석 왼쪽 뒤 문 2, 다 43석/나 50석 사이 뒤 정문, 가 1석 오른쪽 문4, 가 29석 오른쪽 뒤 문3)
(소화기(총 5개) : 스테이지 왼쪽 1개, 스테이지 오른쪽 1개, 가 7석 오른쪽 1개, 공연장 밖 뒤 왼쪽/오른쪽 각 1개씩 배치)  닫기

바로가기 메뉴

메뉴 열기

공연·전시·행사

공연·전시·행사

  • 공연·전시·행사
  • 행사일정

행사일정

워크숍 연구소

<워크숍 연구소>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배우고, 직접 만들며, 새로운 경험과 이야기를 나누는 참여형 배움과 실행의 공간입니다. 창작자들이 각자의 관심사에서 출발한 아이디어를 워크숍 형태로 구상하고, 연구모임을 통해 동료 작가들과 함께 발전시킵니다. 그렇게 완성된 워크숍은 다시 공개 프로그램으로 시민들과 만납니다. 이 실험에 함께 할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배움과 창작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 과정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일시
제목
강사
1
8. 2(토) 13시~16시
채집하는 손, 이동하는 몸 [글쓰기 워크숍]
발레리 티 리
2
8. 9(토) 13시~16시
8.10(일) 13시~16시
오고 가는 마음 [미술 워크숍]
윤대희
3
8.16(토) 13시~15시
이어가는 손, 돌아보는 삶 [미술 워크숍]
신혜정
워크숍 연구소
세부내용
대상 상세 설명 참조
인원 각 워크숍별 10명 이내
장소 교차공간818 (평택시 평택로57번길12, 2층)
모집기간 2025. 7.20.(일) ~ 마감시
접수방법 온라인 구글폼을 통한 신청
주최,주관 교차공간818, 비에스컨텐츠
후원 평택시, 평택시문화재단
문의 교차공간818 (gyocha818@gmail.com / 031-658-0818)
상세정보
워크숍 연구소  <워크숍 연구소>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배우고, 직접 만들며, 새로운 경험과 이야기를 나누는 참여형 배움과 실행의 공간입니다. 창작자들이 각자의 관심사에서 출발한 아이디어를 워크숍 형태로 구상하고, 연구모임을 통해 동료 작가들과 함께 발전시킵니다. 그렇게 완성된 워크숍은 다시 공개 프로그램으로 시민들과 만납니다. 이 실험에 함께 할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배움과 창작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 과정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립니다.    일시 제목 강사 1 8. 2(토) 13시~16시 채집하는 손, 이동하는 몸 [글쓰기 워크숍] 발레리 티 리 2 8. 9(토) 13시~16시 8.10(일) 13시~16시 오고 가는 마음 [미술 워크숍] 윤대희 3 8.16(토) 13시~15시 이어가는 손, 돌아보는 삶 [미술 워크숍] 신혜정    ■ 1. 채집하는 손, 이동하는 몸 (글쓰기 워크숍) ∘ 일정 : 2025. 8. 2.(토) 13시-16시 ∘ 강사 : 발레리 티 리  “해초의 움직임, 홀씨의 감각으로 글을 쓴다면?” 이번 워크숍에서는 인간/비인간 존재가 이동하고, 움직이고, 흘러가고, 자라나는 감각을 글로 표현합니다. 그 감각의 시작은 나 자신, 그리고 해조류, 곰팡이, 조류, 지의류 같은 자연물과 생물의 움직임을 조용히 관찰하는 데서 출발합니다. 자신의 관찰과 경험을 바탕으로, 마치 무언가를 채집하듯 글을 써보는 연습을 합니다. 나의 시선이 바닷 속 해초의 움직임으로, 하늘을 나는 새의 시선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테레사 학경 차, 어슐러 K. 르 귄 같은 여성 작가, 디아스포라 문학가들의 글을 함께 읽으며, 언어가 서로 얽히고 흘러가는 그물처럼 유연한 것임을 함께 느껴봅니다. 이 워크숍은 잘 쓰는 글보다, 잘 듣고, 깊이 느끼고, 조용히 써보고 싶은 마음을 가진 분을 위한 자리입니다. 자연과 삶, 감정과 언어 사이에서 무언가를 채집하듯 써보고 싶은 분들을 기다립니다.  [작가소개] 발레리 티 리 발레리 티 리는 퍼포먼스, 텍스트, 공동체적 실천을 통해 체화된 지식과 침묵된 목소리, 자연과 인공의 경계를 탐구한다. 왁스, 한천, 생분해성 재료와 자연 안에 유기된 인공물을 활용해 디아스포라적 기억과 비인간 존재와의 얽힘을 다루며, ‘메두사 증후군’ 등 사변적 상상을 통해 경계 서사와 여성 서사를 다양한 매체로 풀어나간다. 벨기에 브뤼셀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Rupert (리투아니아), Podium (노르웨이), Sim (아이슬랜드), M4 gastatelier(네덜란드), Space Übermensch (대한민국), wpZimmer (벨기에) 등 다수의 레지던시와 전시에 참여하였다.     ■ 2. 오고 가는 마음 (미술 워크숍) ∘ 일정 : [1차] 2025. 8. 9.(토) 13시-16시 / [2차] 8.10.(토) 13시-16시 ∘ 강사 : 윤대희   “기억을 나누고 마음을 잇는 조각들” <오고 가는 마음>은 참여자가 특정 지역이나 장소에서 겪은 경험과 감정을 이야기로 나누고, 그 이야기를 바탕으로 나무 조각을 쌓아 하나의 상징적인 구조물로 완성하는 워크숍입니다. 나무 조각은 기억 속 한 장면, 혹은 하나의 감정을 담는 단위가 됩니다. 조각들은 서로 맞닿고 연결되며, 그렇게 쌓아올린 구조물은 형태를 가진 기억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각자의 조각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 다른 삶의 장면을 이어붙이고, 지역의 시간과 감정이 겹겹이 쌓이는 공동의 기억 공간으로 확장됩니다. 그저 스쳐 지나간 줄만 알았던 순간들이 이 공간 안에 쌓여 우리의 이야기가 됩니다. 기억을 새가고 마음을 나누고 싶은 분들을 기다립니다.  [작가소개] 윤대희 윤대희는 실재하는 풍경 속에 보이지 않는 세계의 흔적을 포착해 드로잉과 회화로 풀어내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익숙한 장소에서 마주한 낯선 감각이나 기억의 층위를 탐색하며, 현실과 비가시적인 세계 사이의 경계를 드러낸다. 보이는 장면 너머의 정서와 서사를 담아내며, 풍경이라는 구조를 통해 인식과 경험의 경계를 시각화하고 있다. 개인전 <안개/연기>(인천아트플랫폼, 2022), <보이는 문>(플레이스막2, 2022)을 비롯해 다수의 전시에 참여하였고, 2018년부터 문화공간 <공간 듬>을 운영하며 전시와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 3. 이어가는 손, 돌아보는 삶 (미술 워크숍) ∘ 일정 : 2025. 8. 16.(토) 13시-15시 ∘ 모집 대상 : 50대~60대 여성 ∘ 강사 : 신혜정   “손에서 시작하는 나의 이야기” 이번 워크숍은 ‘손’을 주제로 감정과 인생의 서사를 풀어가는 현대미술 창작 활동입니다. 참여자들은 현대미술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한 뒤, 자신의 손금을 따라 그리고, 손의 형태를 조형물로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나갑니다. 창작의 과정 속에서 서로의 손과 삶을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다과를 곁들인 편안한 대화의 시간을 통해 소통과 힐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손에는 어떤 이야기가 깃들어 있나요? 그 손이 기억하는 감정과 시간을 함께 나눌 분들을 기다립니다.  [작가소개] 신혜정 신혜정(b.1981)은 신체의 감각적 기능, 특히 손과 발에 주목하여 이를 조형물과 퍼포먼스 작품으로 표현한다. 관객이 직접 만질 수 있는 공공적 성격의 작품을 제작하며, 최근에는 피부감각 및 운동감각과 관련 있는 햅틱 감지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임신과 출산, 노화로 변화한 몸과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신체를 설치 오브제로 형상화하며, 다원 예술 공연에서는 관객이 직접 참여하는 퍼포먼스를 연출하기도 한다. 가족, 어린이, 청소년, 중장년 여성 등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한 예술 매개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Teaching Artist(TA)로 활동하고 있다.    <워크숍 연구소> 참여자 모집 개요   ∘ 모집기간 : 2025. 7.20.(일) ~  ∘ 모집 인원 : 각 워크숍별 10명 이내 ∘ 워크숍 진행장소 : 교차공간818 (평택시 평택로57번길12, 2층)  ∘ 신청방법 : 구글 신청서 작성  (https://forms.gle/1YmNNGLXEQFfPd5q6)    ∘ 문의 : 교차공간818 (gyocha818@gmail.com / 031-658-0818)   * 본 사업은 평택시문화재단 「2025 생활문화 거점조성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는 사업입니다.   주최‧주관 : 교차공간818, 비에스컨텐츠 후원 : 평택시, 평택시문화재단
오늘 공연일
공연달력
2025. 8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평택시문화재
단예술인 DB

기부후원
신청

미술 소장품
갤러리

평택시립
예술단

평면도
스튜디오

TOP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