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안내 |
· 강사와 참여자가 특정 채널 및
플랫폼, 솔루션을 활용, 실시간
온라인으로 만나는 교육
· 줌(Zoom), 유튜브 라이브,
구글 미트 등 활용
· 실시간 교육 시 교육자료로 영상 등 콘텐츠 제작 및 활용하는 경우는
실시간 소통형 해당 |
·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접근이
용이한 채널 및 플랫폼,
솔루션을 활용, 참여자에게
배포하는 교육
· 콘텐츠에 적합한
참여자를 모집하여 교육 실행
※ 불특정 다수 대상 단순 배포용
콘텐츠는 부적합
|
· 회차별 실시간 소통과 콘텐츠
배포를 병행하는 교육
· 주제별 교육 효과를 고려하여
유형별 횟수 배분
※ 6회=콘텐츠 배포 3회+
실시간 소통 3회
(순서는 자율구성)
|
예산
편성
기준 |
· 강사비는 실 교육시간에
온라인 교육 준비 및 마무리
소요시간(1시간)을
추가하여 편성 가능
※ 강사비 3시간 편성=
교육(2시간)+준비·마무리(1시간)
· 강사비 외 예산은 대면 교육과
동일 기준 적용 |
· 강사가 출연하는 콘텐츠는 제작할 경우, 강사비는 제작 시간을 고려하여 1개 콘텐츠 당 최대 3시간 편성 가능
· 강사비 외 콘텐츠 제작비는
대면교육과 동일 기준 적용 |
· 실시간 소통형, 콘텐츠 배포형 기준 복합 적용
|